BLOG main image
더좋은친구's Blog
산이좋아

756.17.5.23 전북 진안 봉학리'갈거橋'-지재봉636.7-복두봉1021.6-곰직이산1084.5-명덕봉790.7-봉학리.15.5km.5:55.해23℃.

 

진안 정천 갈용리(09:40)-능선"방향표'산림문화휴양과,관리사무소"(10:08)-지재봉636.7m(10:19)-삼거리'자연휴양림하산로'(10:29)-무명봉(10:48)-암릉지대(11:05-11:40)-삼거리이정표'구봉산1.0,삼양명주차장4.2,천황사4.3,←복두봉1.6,운장대7.2,동상휴게소10km'(11:53)-삼거리이정표'→구봉산1.7,삼양명주차장4.6,천황사5km'(12:17)-복두봉'1021.6m'무인감시탑,정상석(12:18-24)-비포장임도(12:31)-명덕능선삼거리(12:42)-곰직이산(12:52-54)-명덕능선삼거리회귀(13:03)-명덕봉790.7m삼각점'진안 436'(15:00)-봉학리'날머리'(15:35-17:47)-이인휴게소(19:20)-한남역(21:12)

 

진안 정천면 갈용리 갈거마을 버스정유장에서 지재봉636.7m, 복두봉1021.6m, 곰직이산1084.5m, 명덕봉790.7m를 오르기 위해...

갈거 마을을 통과 우측의 산으로 올라 능선의 방향표'산림문화휴양관' 방향으로 11분여 진행 '지재봉636.7m'에 올랐다.

 

지재봉에서 10여분 직진 '산림문화휴양관'으로 내려가는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b조는 내려가 날머리의 봉학리에서 명덕봉으로 오를 것이며...

a조는 직진으로 올라 무명봉을 몇개 넘으며 25분여를 진행 바위지대에서 조심조심 바위를 우회하기도 하였으나 우회도 할 수 없는 암릉을 간신히 올랐으나 더이상 오를 수 없어 올랐던 바위를 다시 내려와 150여m를 빽, 반대편인 우측의 우회길을 찾아, 암릉지대를 30여분 진행...

 

구봉산에서 복두봉으로 진행하는 운장산간의 본 능선 삼거리 부터 곰직이산 구간은 이번 산행중 가장좋은 등산로여서 7-8명이 오손도손 산행할 수 있었고...

 

구봉산 삼거리에서 1.6km 거리의 복두봉의 바위봉에 올라 조망이 터진 수려한 산경을 볼 수 있어 바위지대를 어렵게 오른것에 대한 보상이라도 받는 냥 즐겁게 동남간의 구봉산과 서쪽의 올라야할 '곰직이산'과 운장산을 비롯한 명덕봉으로 연결되는 능선도 확인하고 이번에 준비해간 '복두봉1021.6m'의 정상판을 배경으로 디카에 담고...

 

10여분 소요 '운장산자연휴양림'으로 연결되는 임도를 건너 정자의 우측 능선으로 10여분 진행 명덕봉 능선의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내려가 곰직이산을 다녀오려고 안부에서 올라 헬기장을 지나 삼거리에서 10여분 소요 '곰직이산 1084.5m' 오를 수 있었으며 운장산과 푸르름이 짙어진 산경을 바라보았고 삼거리로 돌아와...

 

20여분 소요 '명계천재'를 지나 산죽 지대가 시작...

여러 바위능선에도 산죽이 얼마나 울창한지 키를 덮음으로 여러사람이 지났음에도 흔적이 없었고 사람이 지나간 1m의 거리가 넘으면 앞 사람이 보이지않아 길을 잃기 십상이고 희미한 산죽밑의 길을 자칫 놓치면 길 찾기가 용이치 않아 여러번 같은 자리로 돌아 오기도 하였다.

 

명덕봉과 연결되는 긴 능선의 전체(3-4km)가 산죽이 덮고 잎에 싸인 미세 먼지가 뽀얗게 일어 호흡기를 통해 흡입됨으로 목이 컬컬해져 기침이 나고 목에 가래가 끼어 답답함을 느끼고, 산죽대가 온몸을 찌르고 억센 산죽잎이 얼굴을 훑는, 수난을 당하며 산죽을 헤치느라 무언중 8-9명이 단합되어 대부분은 대장이 앞장서 대죽터널을 뚤었으나, 지친 모습을 보면 교대로 힘을 모아 어렵게 산죽터널을 뚫고 나가느라 시간도 예측한 시간의 곱이 걸려 어렵게 삼각점이 설치된 b조가 달아주고 내려간 '명덕봉790.7m'의 정상판을 확인 하고...

 

여기부터는 키를 덮는 산죽도 심하지않아 35분여 소요 급경사면을 내려와 봉학리 '씨없는 곶감마을'에서 1.5km 넘는 바위지대와, 3-4km의 긴 산죽터널을 헤치고 통과하며 얼굴에 상처를 남기는 수난의 산행을 마치게 되었다.

 

위험한 긴 구간의 바위지대를 무사히 통과하고 또한 산행하면서 무성한 산죽터널 구간이 이제까지의 산행중 제일 긴 거리의 빽빽한 산죽 터널을 지나, 15km가 넘는 거리의 여섯시간의 산행으로 많은 체력을 소모하였으나 어려운 산행을 마치고 계곡물에 미세먼지를 씻어내고 땀에 젖은 옷을 갈아입은후 식사를 하며 시원한 하산주를 마시니 더할수 없이 상쾌한 기분이 되어 힘들었던 산행이 오히려 더욱 즐거운 기억으로 바뀌어 날아갈듯 가벼운 몸과 마음으로 귀가하였다.

 

"바라봄의 법칙"

한 젊은 병사와 결혼해서 사막에서 살게 된 여인이 있었다.
그러나 사막의 황량함과 외로움을 견디지 못한 그녀는
마침내 친정어머니에게 편지를 보내.
"어머니, 저는 집으로 돌아가고 싶습니다.
이 메마른 사막이 너무도 싫습니다.
이곳은 사람이 살기에 끔찍한 지역이랍니다."

그녀의 어머니에게서 아주 짧은 답장이.
"두 사람이 감옥의 철창을 바라보고 있었다.
한 사람은 진흙을 보았고 한 사람은 별을 보았단다."
어머니가 보내준 글의 의미를 깨닫게 된 그녀는
진흙이 아닌 별을 찾아.

 

그녀는 사막의 꽃인 선인장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고,
근처 인디언의 말과 풍습과 전통을 연구해...
그 결과 그녀는 사막에 관한 전문가가 되어
좋은 책을 쓰게 되었다 고 한다.

'바라봄'에는 법칙(긍정과 부정)이 있다.
똑같은 것을 보아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는 것이다.

# 오늘의 명언
행복과 불행은 주변의 환경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생각에 있다.

– 마사 워싱턴 –

진안 정천면 갈용리 갈거 버스정유장에서 우측 산으로...

 

 

갈용길에서 마을로 들어가 좌측 산으로...

 

묘지를 지나며 좌측의 지재봉을 올려다 보며...

 

능선의 방향표에서 '산림문화유양관' 방향으로...

 

40여분 소요 '지재봉636.7m'에 아무 표시가 없어 뒤에 오르는 일행을 위해 선두대장이 준비한 정상표시를...

 

지재봉에서 배출한 수분 보충을 하고...

 

산림문화휴양관으로 내려갈 삼거리에서 직진...

 

무명봉을 우회하며...

 

암릉구간에 들어서며...

 

파묘지를 지나고...

 

암릉지대의 바위를 조심스럽게 우회하며 영역표시를 하고...

 

 

여러곳이 우회길도 찾을 수 없어 오르고 내림을 반복하고...

 

바위지대의 등로가 없는 곳을 30여분 지나, 우측의 구봉산 갈림길 삼거리에서 좌측 복두봉을 향하며...

 

 

 

구봉산 갈림 삼거리에서 곰직이산까지의 가장좋은 등산로를...

 

 

산죽도 드물게 지나고...

 

복두봉의 이정표를...

 

복두봉에서 산마루를 따라 눈길을 주고...

 

복두봉 무인감시탑...

 

'복두봉1018m' 정상석...

 

 

 

복두봉에서 운장산을...

 

 

 

복두봉에서 시원한 조망을 따라...

 

 

 

이번에 걸어준 '만산동호회 복두봉 1021.6m'의 정상판을...

 

정상판과 만산동호회장의 모습도...

 

 

 

 

복두봉에서 0.6km를 내려와 임도를 건너 정자의 우측으로 '곰직이산'으로...

 

임도에 세워진 운장산과 구봉산 등산로를...

 

정자의 우측 능선으로...

 

임도의 정자에서 10여분 소요 명덕봉 능선 삼거리에서 우측 '운장산4.1km' 방향의 곰직이 산으로...

 

삼거리에서 안부로 내려가며 '곰직이산'을 올려다 보고...

 

헬기장을 지나며...

 

곰직이산의 이정표를...

 

이곳에도 '곰직이산1084.5m'의 표시가 없어 표시를 해주고 명덕봉 삼거리로 향한 선두대장을 따라...

 

곰직이산에서...

 

곰직이산에서 운장산을 바라본 경관...

 

곰직이산에서 운장산을 파노라마로...

 

 

 

곰직이산에서 명덕봉 능선도 바라보고...

 

명덕봉 능선을 따라 바라본 경관...

 

운장산을 다시 한번 더 바라보고...

 

명덕봉 능선 삼거리에 회귀 명덕봉으로...

 

 

명덕봉 삼각점'진안 436' 2003년에 재설...

 

이번에 달아준 '명덕봉790.7m'의 정상판...

 

씨없는 곳감마을의 계곡물에서...

 

 

 

이인휴게소에서...

 

발자취를 따라...

 

755.17.5.18 인제 양지교-양지촌-임도-수리봉-삼거리-심적봉왕복-덕세산-인북천-알미봉-논장교.13km.해25℃.

 

인제 서화 천도리'양지교'(10:00)-비포장임도 삼거리'좌'(10:17)-도로공사장(10:40)-고개'가옥'(10:45)-수리봉들목(10:49)-수리봉760m(10:55)-삼거리'가옥'회귀(11:03)-심적봉807m'삼각점'(11:30)-삼거리'가옥'회귀(11:55)-750m봉(12:20)-德世山744.9m'삼각점'(12:35)-530m봉(12:55)-450m봉(13:10)-무동교(13:15)-서흥1리회관(13:20)-논장橋(13:23)-알미봉415m'삼각점'(13:50)-논장교회귀(14:10-15:10)-가평휴게소(16:45)-남양주jc(17:06)-천호역(17:27)

 

오래간만에 하늘이 내린 땅, 우리나라 국민이 필요로하는 산소공급 3/1을 생산한다는 강원도 인제와 양구에 위치한 3년여 전에 다녀온 '용늪' 습지의 '대암산1263.7m' 인근, 수리봉760m와, 심적봉807m, 덕세산744.9m, 알미봉415m, 등을 산행하기 위해...

 

춘천고속도로를 홍천 나들목에서 벗어나 홍천강을 따라 44번 국도를 이용 인제에 들어 우측의 한계령으로 갈리는 곳에서 453번 도로를 따라 인제군소재지를 지나 원통을 거쳐 좌측으로 들어가는 '용늪길 대암산' 표지석을 지나 '논장橋'를 건너 '양지橋'에서 산행을 시작...

 

양지橋를 건너 좌측 원통방향의 시멘트 마을 도로를 따라 '양지村'을 거쳐 시멘트 임도가 끝나는 곳을 지나 비포장 임도의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희미한 임도의 너덜길을 따라 차량이 지나간 흔적이 전혀없는 곳을 25분여 진행 도폭이 2차선은 됨직한 도로공사가 한창인 곳을 우측으로 올라 5분여 후 임도 삼거리의 좌측 '신가옥'을 바라보며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 심적봉으로 향하는 임도를 벗어나 우측으로 3-4분후 우측의 산으로 오르는 희미한 흔적을 따라 올려다 보이는 '수리봉760m'에 올랐는 데 노송에 노란판의 정상판이 걸려있었다.

 

뒤돌아 임도로 내려와 신가옥이 위치한 임도삼거리에서 10여분 후 우측의 '심적봉807m'를 확인 임도삼거리의 '신가옥'뒤의 산으로 들어가...

우측의 철조망을 따라 750m봉을 거쳐 '德世山744.9m'에 올라...

 

넓은 공터의 헬기장인듯 좌측편에 삼각점을 확인 하고 삼각점이 위치한 좌측의 잡목숲속 태극기가 계양대에 걸려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530m봉과 450m봉을 비롯한 4-5개의 봉을 넘어 급사면으로 내려와 농지를 거쳐 시멘트 임도를 이용 서흥1리회관을 지나 우람한 '용늪길 대암산' 표지석이 세워진 차도의 453번 도로를 우측으로... 

 

논장橋를 건너 좌측의 시멘트 임도로 진행 '알미봉415m'를 다녀 내려와 논장교에 회귀...

30여분을 식사와 하산주를 마시고 한가히 귀경 출발시간을 기다리며, 주변의 푸르른 산마루를 따라 눈길을 주고, 티없이 맑은 하늘을 바라보며 맑은 공기를 마음껏 호흡하기 위해 둘레길을 20여분 걸어보며 주변을 살펴본 후 이른시간에 귀경을 위해...

 

오전에 진행한 곳을 역으로 원통을 거쳐 인제군소재지를 거쳐 춘천고속도로에 들어 '가평휴게소'에서 잠시 볼일을 보고 남양주jc로 춘천고속도로를 벗어나 도심에 들어 천호역에서 일정을 마치고...

 

다른 고장은 비가 내리지 않아 땅이 메말라 식물이 시들고 타들어 가는 듯 자라지 않는 모습을 보았으나...

늪지가 가까운 곳이어서 인지? 이곳은 청정하고 웃자란 식물들의 색다른 푸르름을 직접 접해 보았음으로 또 다른 강원도 산의 신록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느끼는 바가 크기에 보람을 느끼며 산행기를 마치렵니다.

 

"인정과 신뢰"

조선 후기 현종 때 명의이자 우의정을 지낸 허목과
학자이자 정치가인 송시열의 이야기.
이 두 사람은 당파로 인해 서로 원수같이 반목하는 사이였으나.

송시열은 허목만이 자신의 병을 고칠 수 있다고 믿어
허목에게 아들을 보내 약 처방을 부탁했고.
그런데 허목은 처방전 약재 중에 독약을 함께
달여서 먹으라는 것이었다.

처방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사람들은 허목을 욕했으나
송시열은 의심 없이 허목의 처방대로 약을 먹었다.
그리고 얼마 뒤 씻은 듯이 병이 나았다 함으로

서인 송시열과 남인 허목은 조정에서 만나면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지고 다툼과 대립을 했지만
조정에서 물러나면 서로의 훌륭한 점을 인정하고 믿어주는
성품과 아량을 지녔던 것이다.

나와 생각이 맞지 않는다고 무조건 배격하기만 한다면
결코 한 마음으로 함께 나아갈 수 없다.
라이벌일지라도 상대의 능력을 인정하고 신뢰하는
열린 자세가 세상을 바꿉니다.

# 오늘의 명언
아무도 신뢰하지 않는 자는 누구의 신뢰도 받지 못한다.
– 제롬 블래트너 –

 

인제군 서화면 천도리 양지마을 입구의 '양지橋'를 건너려고...

 

양지교 앞의 모습...

 

양지교 앞의 목각 조형물을...

 

양지교를 건너며 인북천을 건너...

 

양지橋를 건너 좌측의 양지마을 방향의 이정표 '원통22.5km' 방향 시멘트 도로를 따라...

 

양지마을로 들어서며...

 

비포장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비포장임도 삼거리에서 25분여 후 임도공사가 한창인 곳으로 올라 우측으로...

 

희미하던 임도의 숲에서 공사중인 임도로 내려오는 모습을 뒤돌아본 광경...

 

도로공사중인 곳에서 5분여 후 삼거리 우측 신가옥을 볼 수 있었고...

 

'심적봉' 방향은 좌측 임도, 덕세산은 집뒤편의 산으로, 수리봉은 우측 임도로...

 

임도 삼거리에 세워진 '산림유정자워 보호구역' 판이 있었고...

 

우측의 임도를 따라 '수리봉'으로...

 

또다른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잠시후 임도를 벗어나 우측의 산으로 들어가며...

 

임도를 벗어나 5분여 후 '수리봉760m'의 정상판을 볼 수 있었고...

 

삼거리로 회귀...

 

심적봉에서...

 

'덕세산744.9m'의 낙엽에 덮인 삼각점을 찾아내 삼각점을 배경으로 '니나'님의 모습...

 

2007년에 설치한 '덕세산744.9m'의 삼각점...

 

덕세산 좌측의 국기가 계양된 모습...

 

덕세산 우측으로 하산하며...

 

'530m봉'과 '450m봉'을 지나 잔다리로 하산...

 

무동橋를 건너며...

 

시멘트 임도를 따라 서흥1리로...

 

 

서흥1리회관 앞을 지나며...

 

'논장橋' 앞 버스를...

 

논장교를 건너 좌측의 '알미봉415m'로...

 

논장교로 회귀 종합안내도를...

 

알미봉을 다녀와 인북천을 건너는 '논장橋'와 알미봉을 올려다 보며...

 

둘레길을 따라 잠시 걸어보고...

 

둘레길에 '원통 18.8km'를 확인...

 

서흥1리회관 방향으로 드는 '용늪입구 6.9km, 심적산림습원입구7.2km'의 이정표를...

 

 

 

귀경길에 가평휴게소를 거쳐 남양주jc를 나오며...

 

발자취를 따라...

754.17.5.16.합천 청덕면샛담-다남산402-고랑큰음달산-파산등-절골봉-부수봉-필봉-부지산-함박산-모세산-궁동.12km.3:30.해20℃.

 

합천청덕면운봉리샛담(10:57)-多南山402(11:36)-고랑큰음달산272.9(12:15)-2차선차도(12:20)-고랑음달봉230.8(12:23)-236m봉'준·희'판(12:31)-파산등220.4m(12:46)-시멘트임도(12:49)-절골봉305(13:04)-부수봉332.9m(13:23)-삼각점331m'창녕 329'(13:31)-필봉327.5m(13:35)-부지산전위봉261m(13:40)-부지산313m'정상석'(13:50)-함박산235.5m(14:02)-모세산205m(14:08)-쌍묘(13:22)-2차선도로'궁동버스정유장'앞(13:27-17:05)-추풍령휴게소(18:40)-신탄진휴게소(19:35)-한남역(21:09)

 

지난주 화요일엔 19대 대통령선거로 정권이 바뀌어 야당의 '문재인' 대통령이 새롭게 청와대에 입성하게 되어 그간 7-8개월의 어수선한 세월이 이제는 자리를 잡아 조용해 지려는 지? 우려속에...

 

합천 청덕면의 다남산402m와 고랑큰달음산272.9m, 파산등220.4m, 절골봉305m, 부수봉332.9m, 필봉327.5m, 부지산313m, 함박산235.5m, 모세산205m등의 야트막한 아기자기한 야산들을 산행하려고...

 

b조의 10여명을 고랑큰음달산으로 오르게 하려 먼저 내려주고 중촌과 평촌을 지나 정산마을의 샛담으로 올라 40여분 소요 다남산(多南山)402m의 정상에 선답자 산우들의 시그널이 주렁주렁 달린 모습을 보고 선두대장이 컴에서 출력해온 '다남산 402m'를 잡목에 달아주고 좌측으로 여러봉을 넘으며 40여분을 진행, 산불초소를 올려다 보며, '고랑큰음달산 272.9m'에 올랐고... 

 

5분여 소요 2차선 차도에 내려와 우측으로 10여m 진행 좌측의 철조망이 끝나는 곳의 산으로 들어가 234.9m봉에서 좌측으로 틀어져 서낭당고개를 지나 '파산등220.4m'를 지나 2분여 후 비포장 임도를 지나고 즉시 시멘트 포장임도를 따르다 산으로 들어 '절골봉305m'를 올랐고 절골봉을 내려와 삼거리봉에서 다녀올 부수봉을 향하려...

 

좌측의 뚜렷하지 않은 밀림지를 뚫고 안부로 내려가 우측의 고스락으로 올라 '부수봉332.9m'에도 선답자 산우들의 시그널을 확인 하고 되돌아 안부를 거쳐 삼거리봉에 되돌아 올라... 

 

좌측으로 진행 능선상'고도 331m'에 설치된 삼각점'창녕 329'를 확인 후, 4분여 후 '필봉327.5m'를 확인후 안부를 지나 삼거리봉으로 오르며 우측의 뾰족한 봉우리를 보며 좌측으로 올라 삼거리 봉에도 선답자 산우들의 시그널이 여러장 걸려있는 모습을 보며 우측 방향의 뾰족한 산을 향해 안부로 내려가 삼거리봉에서 10여분 소요 '부지산313m'에 올라 오석의 '부지산313m'의 정상석을 확인 하고...

 

부지산에서 함박산까지의 거리를 나타낸 이정표가 바닥에 떨어져 있어 보니 '함박산1.86km'로 되어 있었으나 거리가 실제의 거리와 상이하여 고의적으로 떼어버렸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부지산에서 12분 소요 '함박산235.5m'에 오를 수 있었고, 6분여 진행 '모세산205m'를 지나 100여m를 직진후 좌측의 능선으로 내려간후 희미한 등로 마저 찾을 수 없어 밀림지를 뚫고 내려가 쌍묘와 납골당 묘지를 지나 우측으로 내려가 2차선 차도에서 좌측으로 진행 '성태마을 버스정유장' 앞에서 산행을 마쳤다.

 

이번 산행은 날씨도 시원하게 바람도 간간이 불어주고 고도의 오르 내림의 편차가 심하지않음과 더불어, 거리또한 12km밖에 되지않았으며 길 또한 뚜렷한 산길이 이어져 무난하고 수월하게 산행을 마칠 수 있었다.

 

"왕자와 목동"

'길을 안내하지 않으면 너를 죽이겠다!'
하지만 목동은 단호한 표정으로 왕자에게

'아무리 그러셔도 전 양들을 떠나 길을 안내해 드릴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말로는 안내해 드리지요.
저 산을 세 번 넘은 후에 서쪽으로 계곡을 따라 20분 가면 길이 나옵니다.'

길을 잃은 왕자는 하는 수 없이 말해준 대로 힘들게 길을 찾아갔습니다.
하지만 생각할 수 록 목동이 괘씸했습니다.
'감히, 내 간청을 거절하다니...'

몇 년 후, 왕자는 왕이 되어 나라를 통치하게 되었습니다.
막상 인재를 고르려니 마땅한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때, 그 한결같던 목동이 떠올랐습니다.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도 좋지만,
한결같이 보이는 사람이 훨씬 귀하다고 생각한 왕자는
목동을 불러 재상으로 삼았습니다.

백 권의 책에 쓰인 말보다 한 가지 성실한 마음이 더 크게 사람을 움직인다.
- 벤저민 프랭클린 -

 

합천청덕면 운봉리 샛담마을 정산橋를...

 

정산리 버스정유장앞에서...

 

북쪽의 중촌과 평촌을 지나 '정산버스정유장'에서 좌측의 샛담으로 오르며...

 

 

40여분 소요 '다남산402m'에 오를 수 있었고...

 

다남산에 선답자 산우들의 시그널중 만산회'심용보·문정남'님의 시그널도...

 

'고랑큰음달산272.9m'에 산불감시초소를 올려다 보며...

 

뒤에 따라오는 일행을 위해 선두대장의 준비로 표시를 해주고...

 

고랑큰음달산에서 산그리메를....

 

 

'고랑큰음달산'에서 5분여 소요 차도에 내려와 우측으로 10여m진행 철망끝의 좌로 오르려...

좌측으로 오르며 시그널을 확인 하고 영역표시를 한후...

 

이곳은 큰자가 빠진 '고랑음달산230.8m'인듯...

 

이곳에도 '고랑큰음달산'으로...

 

개략도상에는 234.9m로 기재되어 있으나 '수도지맥236m, 준·희'님의 판이 부착되어있었고... 이곳에서 좌로 90˙각도로 진행...

 

평안한 등로를 따라...

 

산마루를 따라 멀리 눈길을 돌려보고...

 

파산등에 오르며...

 

파산등에서도 좌측으로 진행...

 

편안한 임도를 따라...

 

 

비포장임도를 1분여 지나 시멘트 포장도로를...

 

 

절골봉305m에 올라...

 

절골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가 '부수봉332.9m'에 올라...

 

이곳에도 '만산동호회' 산우들을 위해 흔적을 남기고...

 

 

부수봉에서 안부를 향해 내려가며...

 

부수봉에서 삼거리봉에 회귀 다음봉의315.7m봉에 삼각점'창녕 329'가 설치...

 

 

삼각점봉을 지나 '필봉'을 향하며...

 

'필봉327.5m'에 올라...

 

삼거리봉을 오르며 우측의 뾰족한 부지산 모습을... 

 

 

부지산 전위봉인 삼거리 봉에 걸려있는 시그널을...

 

 

부지산 정상석의 후면의 모습...

 

선두대장과 진로 영역표시를 신중하고 철저히해주는 '박칠규'님의 건강이 넘치는 모습...

 

'부지산' 정상석과...

 

이정표가 바닥에 떨어져 있었고, 이정표가 실제거리(1km?)와 상이함으로 고의로 떼어놓은 듯...

 

부지산 정상의 모습...

 

부지산에서 12분여 소요의 '함박산235.5m'...

 

'함박산'에도 바닥에 딍구는 상이한 부지산까지의 이정표를...

 

함박산에서 6분여 소요 '모세산205m'의 마지막 봉에서 100여m진행 후 좌측의 능선으로 내려오고...

 

등산로를 따라 내려오고 밀림지를 뚫고 모세산에서 14분여 후 쌍묘의 우측으로 내겨가...

 

납골당묘지에서 날목의 마을을 바라보며...

 

차도를 따라 좌측의 '평화마을재단'으로...

 

묘지에서 조망되던 복지재단의 모습...

 

복지재단 내를 둘러보며 한가한 시간을 보내고...

 

 

칠면조를 기르고...

 

 

공작등 여러가지 새들을 기르고 있었고...

 

하얀 공작?도 있었고...

 

 

 

 

마을 표지석도 운치가 있고...

 

성태마을 버스정유장의 모습...

 

옛 서원이 있었던 곳인 듯...

 

주변의 산들을...

 

귀경을 위해 성태橋를 건너며...

 

귀경하며 한시간 30분여후 '추풍령휴게소'에서...

 

신탄진휴게소에도 들어가고...

 

발자취를 따라...

 

 

 

753.17.5.11 하동 두양리-정개산-두양橋-비포장도-우방산-함박산-수양산-옥동고개-소두방산-중태경로당.17km.5:03.해23℃.

 

하동옥종두양교(11:32)-정개산520m(12:21)-두양교회귀(13:01)-비포장임도(13:12)-우측'두방산'등로(13:31)-우방산494m(13:37)-빽임도(13:42)-임돗삼거리(13:45)-능선좌로(14:10)-함박산624.7m(14:13)-수양산14:23)-"판'소두방산'함미봉"520m(14:51)-하동/산청경계능선'개간지'(15:08)-보덕사(15:40)-능선'개간지'회귀(16:20)-중태경노당(16:35-17:00)-고속도로단성IC(17:31)-복정역(20:52)

 

이번산행은 지난해(2016.7.14)에 다녀온 오대주산,조례산,흰덤산,두방산,비룡산의 우측 인근의 하동 옥종면 두양리 우방산494m,함박산624.7m,623m봉을 지나,수양산538.2m,함미봉'소두방산521m를 계획했으나 인근의 오르지 못한 동떨어진 '鼎蓋山520m'를 추가 하려고 정상적인 산우들의 반대편 산을 향해 서·남 방향의 시멘트 임도를 따라 오르고 산으로 오르는 임도를 이용 10여분 후 길이 밀림으로 막혀, 밀림지역을 뚫고 가파른 오름을 20여분 올라 희미한 길을 따라 전위봉을 지나 정상에 돌탑이 위치한 '정개산520m'의 정상을 확인...

 

정개산에는 아무런 표시가 없어 돌탑만 두개 확인 하고 되돌아 내려와 두양리 '두양교'를 건너 좌측의 도로를 오르다 우측의 시멘트 임도로 올라 10여분 후 좌측의 비포장 임도로 진행 20여분 후 우측의 우방산으로 5분여 올라 '우방산' 정상석을 확인 뒤편의 돌탑 두개도 확인 하였고... 

 

돌아 내려와 벗어낫던 임도로 내려와 임도를 따라 우측으로 올라 능선올라  우측의 송전탑을 바라보며 좌측으로 올라 '함박산624.7m'를 지나 623m 봉에서 좌측 방향으로 5분여 후 '수양산538.2m'의 조망이 뛰어난 전망바위에서 북쪽의 산마루를 바라보며 산밑을 따라 뻗어간 도로와 德川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된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안부로 내려가 밀림지 20여분 진행 일행이 지나며 부착해 주고 간 "소두방산'함미봉"520m를 확인 하고...

 

직진의 너덜 지대를 내려가 개간을 하려는 지 노송들을 잘라 눕혀놓은 곳을 피해 좌측으로 내려가 개간지의 하동과 산청 경계상에서 현위치를 알지못해 좌측의 하동으로 내려가 산행시작점이었던 두양리의 '보덕암'에서 다시 함미봉에서 비룡산으로 연결되는 능선의 개간지로 돌아와 산청 시천면 중태리 경로당으로 1시간여 소요 어렵게 산행을 마치게 되었다.

 

"돼지 저금통"

'근주자적 근묵자흑[近朱者赤 近墨者黑]'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붉은색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붉게 물들고,
먹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검게 물든다는 뜻입니다.
착한 사람과 사귀면 착해지고, 악한 사람과 사귀면 악해짐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 오늘의 명언
한 개의 촛불로 많은 촛불에 불을 붙여도
처음의 촛불 빛은 약해지지 않는다.
– 탈무드 –

하동 옥종면 두양리에서 좌측의 '정개산'을 향해...

 

 

오르려는 좌측의 정개산의 모습...

 

우사를 지나며...

 

정개산 정상에 올라 싸은 돌탑을 보고 되돌아 내려와...

 

두양교를 건너 좌측의 도로를 오를 임도를 바라보며...

 

두양교를 건너며...

 

도로를 100여m 오르다 우측의 임도를 따라 오르고...

 

다녀내려온 '건너편'의 정개산을 바라보며...

 

시멘트 임도를 따라 오르며...

 

 

좌측의 비포장 임도를 이용...

 

우측의 산길에 들어 5분여 올라 '우방산494m'의 정상석을 확인...

 

정상석 뒤편의 돌탑도...

 

임도에 회귀 우측으로 오르며...

 

경계능선의 송전탑을...

 

삼거리로 돌아와 오르며 보았던 좌측 능선으로...

 

함백산을 지나며...

 

수양산에 '심용보'님의 시그널을 확인...

 

수양산에서 내려다 본 도로를 따라 흐르는 덕천과 건너편의 수양산을 비롯한 하늘금을...

 

 

 

일행이 지나며 걸어준 '소두방산'함미봉' 정상표지판을...

 

밀림지로 내려오며...

 

잘못 내려간 하동군 옥종면 두양리의 사방하천을...

 

차량통제책도 지나...

 

사방계곡의 소류지...

 

 

 

내려갇던 계곡을 다시 오르며...

 

산청군과 하동군의 경계인 개간지를 다시 넘으며...

 

산청군 시천면의 중태리 마을회관에 주차된 산악회 버스를 확인...

 

정시에 출발 고속도로를 이용하기 위해 단성Ic로 들어가며...

 

휴게소에서...

 

복정역에서...

 

내 발자취를 따라...

 

 

1 ··· 37 38 39 40 41 42 43 ··· 352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405)
산행사진 (479)
사진 동영상 (2)
산행동영상 (141)
백두대간산행사진 (19)
백두대간 동영상 (31)
백두대간 산행기 (40)
산행기 (623)
산행지도 (8)
이미지 (1)
좋은글 (13)
나의 글 (5)
크라식 음악 (0)
음악 (3)
스위시 (1)
임시보관함 (1)
전국 산행지도 (1)
자연의 아름다운 사진 (4)
산행지식 (3)
인천 보훈시설 탐방 (0)
여러가지 (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목록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