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0.15.8.13.곡성태안로'원달재'-삼밭봉384m-강청봉403m-송소리봉473m-외사리재-봉두산753.7m-태안사-조태일문학관.11km.3:18.맑음30℃.
곡성640번도로'원달재'(10:55)-삼밭봉384m(11:10)-강청봉403m(11:33)-개간지(11:38)-헬기장(11:47)-송소리봉473m(11:50)-우측내려가는 길(12:06)-산죽군락지(12:12)-외사리재'봉두산정상2.0, 태안사0.7km'(12:16)-표지판'길가큰바위'(12:21)-표지판'큰소나무밑'(12:26)-오르막끝바위(12:30)-"길없음들어오지마시오'태안사"(12:35)-표지판'큰바위560m'(12:37)-표지판'묘지620m'(12:41)-외등골'봉두산0.4, 농곡괴목4.8km'(12:45)-표지판'넓적바위715m'(12:49)-봉두산정상753m및삼각점'구래305,1985재설'(12:54-58)-절재'봉두산1.1km, 태안사1.3km'(23)-임도삼거리좌측'태안사111m'(13:45)-태안사13:49-53)-桐裏山泰安寺'동이산태안사'(13:54)-凌波閣'능파문'(13:57)-봉두산안내도및조태일기념관(14:15-16:00)-여산휴게소(18:00)-복정역(20:20)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와 월등면 죽내리의 경계를 이루는 곳에 위치한 삼밭봉과 강청봉 송소리봉 봉두산을 비롯한 죽곡면의 태안사와 조태일 시문학관을 관람하기 위해 나섰다.
예정된 시간에 맞춰 640번도로 태안로의 '원달재'에서 산악회 버스를 뒤로하고 임도를 3-4분여 오르다 오른편 산으로 올랐으며...
삼밭봉인듯한 봉을 넘어 원달재에서 40여분 후 강청봉403m에 띠지가 몇개걸린 것을 보고 강청봉임을 확인하고...
한시간여 후에는 이번산행에 동참한 만산회원 네명중 한명의 띠지를 봄으로 송소리봉임을 확신할 수 있었다.
26분을 진행 외사리재를 지나 이곳부터 현위치가 일정한 간격으로 잘 표시되어 있어 좌측의 태안사 갈림길을 지나 무덤을 지났고...
삼거리에 올라 좌측으로 꺾이는 곳에서 봉두산 정상까지 0.4km를 숨가쁘게 10여분 올라 봉두산 정상에 오를 수 있었으며...
봉두산 정상에는 두동강으로 부러진 화강암 '봉두산753m'의 정상석과 삼각점'구래305 1985 재설'이 앞뒤로 정연하게 있었고...
그외에 좌측으로 내려가는 방향의 이정표'태안사2.4km, 반대 우측 방향의 상한2.5km'의 선명한 방향표도 있었다.
봉두산 정상에서 좌측으로 조금 꺾이어 1.1km를 25분여 진행 절재에서 좌측으로 틀어져 10여m 내려간 곳에 '태안사1.3km, 반대방향의 상한1km란 안내판이 있어 22분 후 계곡을 벗어난 임도에서 좌측 임도를 2분여 올라 태안사 경내에 들어섰으며...
전남 곡성군 죽곡면 봉두산(753m) 서쪽 자락에 위치한 태안사(泰案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의 말사라하며...
742년(경덕왕 1) 신라 하허삼위신승(何許三位神僧)이 창건하고, 919년(태조 2) 윤다(允多)가 132간을 중창했다 한다.
개산조(開山祖)인 혜철국사(慧徹國師)가 이 절에서 법회(法會)를 열어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인 동리산파(桐裏山派)의 중심사찰이 되었고. 고려 중기 이후 사세가 축소되다 조선시대에 배불정책으로 쇠퇴해졌다 하며...
1683년(숙종 9) 정심(定心)이 중창했으나, 6 ·25전쟁 때 대부분의 대웅전을 비롯 15채의 건물이 불탔고, 사찰 내 주요 전각으로 대웅전·보제루(普濟樓)·해회당(海會堂)·선원(禪院)·능파각(凌波閣)·일주문(一柱門) 등의 당우가 있었다.
연못의 삼층석탑에 현재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다 하며...
삼층석탑은 훼손되어 남아 있는 옛 부재보다 새로 만들어 끼운 부재가 더 많은 탑이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전 참조)
5분여 경내를 범종각을 비롯, 대웅전과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다는 연못의 삼층석탑을 둘러보고 봉황문을 나와 '동이산태안사' 문을 나와 계곡을 가로질러 지어진 '능파각'을 지나 일주문으로 내려와 해탈교와 반야교를 건너 봉두산 등산로 안내판이 세워진 주차장에서 산행을 마치고 계곡에서 잠시 시원하게 흐르는 물에 실례하여 흘러내리는 땀을 씻어내고 시원한 나무 그늘에서...
멋스러운 산우님이 지난번에 이어 이번에도 소곡주를 가져와 소곡주와 냉막걸리를 경들여 구수한 콩밥으로 빈속을 채우고 덕담을 나누며 여유롭게 시간을 보내고...
竹兄 '조태일' 시문학기념관을 둘러보고 모두가 안전하게 산행을 마치고....
예정된 시간에 출발 여산휴게소에서 산행으로 굳어진 몸을 풀며 휴식을 하고 죽전을 지나 복정역에서 전철을 이용 산악회의 일과를 마치고 건강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귀가하였다.
곡성 죽곡면 원달리 640번 도로변 '원달재'에서...
들목인 임도를 진행하면서...
640번 도로의 태안로를...
임도를 오르며 뒤돌아 본 건너편 산마루를...
임도를 오르며 뒤돌아본 계곡끝의 마을...
임도에서 삼밭봉으로 오르며...
노익장이나 젊은 사람들 앞에서 리딩하는 정정한 모습...
엉킨 밀림지를 뚫고 진행하는 모습...
산행 시작점인 원달재에서 40여분 소요 '강청봉403m'에 시그날을 확인하고...
묘지의 고사리가 우거진 모습...
간벌지를 지나며...
우측은 초록 철망이 쳐져있었고...
헬기장을 지나며...
송소리봉461m에 이번에도 동참, 이산은 빼고 다른산으로 가신 선배인 만산회원의 오래묵은 띠지가 선명하게...
송소리봉에서...
송소리봉을 지나 쾌적한 등산로를 따라...
정오 시간에 침옆수의 소나무 숲을 지나며 피부미용에 좋다는 '피톤치트'를 만끽하고...
산죽군락지를 오르며...
외사리재의 태안사 삼거리에서...
태안사 삼거리인 외사리재에서는 계속 '현위치 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져 있었고...
봉에 올라 시그날도 확인하며 쾌적한 산행을...
고도와 현위치가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져 있었고...
봉에는 어김없이 산악회 및 산우들의 시그날이 걸려있었고...
좌측의 태안사 방면에 이렇한 표지판도 걸려있었고...
묘지가 있는 곳에는 표지판도 현위치를 묘지라 표시되어 있었고...
'외동골'에서 좌측 정상으로 오르는 삼거리에 이정표가 있었고...
봉두산 정상에...
이육중한 정상석을 누가 두동강이를 냈는 지?... 힘이 넘쳐 이런짓을?...
오른 반대편의 좌측 등로를 이용 태안사 2.4km를...
봉두산 정상석 삼각점과...
함께 오른 안대장과...
봉두산 정상 삼각점 '구래 305 1985년 재설'을...
참나무공터를 지나...
봉두산에서 참나무 공터를 지나 정상에서 25분여 진행 이곳 '절재'에서 좌측으로 내려가...
좌측으로 조금 내려간 곳에 표지판이 있었고...
임도에서 좌측의 '태안사' 방향으로 진행...
태안사에 들어서며... 좌측으로 올라...
연못을 내려다 본 광경...
범종각의 단청이 잘된 선명한 모습...
대웅전을 올려다 보며...
육중한 돌들을 읻대어 싸은 모습이 멋스러웠고...
편백나무들이 빽빽히 울창하게 솟은 곳을 지나며...
연못을 둘러벼며...
鳳凰門(봉황문)을 나오며...
동이산 태안사 현판밑을 나와 계단을 내려오며 뒤돌아 올려다 본 모습...
능파각을 지나와 올려다 본 광경...
解脫橋를 건너...
반야교도 건너고...
좌측의 계곡에 흐르는 풍부한 물줄기를 내려다 보며...
동리산문을 나서며...
주차장에 '봉두산 등산로'를...
죽형 조태일 시문학 기념관을 둘러보며...
정심교에 산악회 버스를...
휴게소에 들어가 쉼을 하고...
복정역에서 전철을 이용하고...
내 발자취가 스민곳을 따라...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8.20.상주夢山洞 홍복사입구-천봉산-황금산-2차선-노음산-옥녀봉-국사봉-낙원한정식 (0) | 2015.08.21 |
---|---|
2015.8.18.거제 산달도 당골산235-뒷산214.1-건너재산209-거제-사슴산87.2m. (0) | 2015.08.19 |
2015.8.11 강원 동해 열녀각-소망산(옥녀봉)-안부-초특봉-무릅재-예천봉-동해청소년야영장 (0) | 2015.08.12 |
2015.8.6 강원정선 하승두-용산-반천산-낙천봉-단봉산-소특재-구미정 (0) | 2015.08.07 |
2015.8.4 서천617번도'월봉橋'-백골산-능마산-617번도-삼거리-문수산-희리산-자연휴양림. (0) | 2015.08.05 |